분류 전체보기 29

제철 음식: 여름에 먹어야 더 맛있는 과일

제철 음식 - 여름 편 ☀️🍉🌽여름은 더위로 입맛이 떨어지기 쉽지만, 시원하고 달콤한 제철 음식들이 힘을 준다.대표적으로 수박, 옥수수, 토마토가 있는데, 이 음식들이 여름에 특별히 맛있고 좋은 이유는 과학적 원리에 있다.1. 수박은 왜 여름에 더 시원할까?• 수분이 90% 이상수박은 대부분이 물이라 열용량이 크다. 같은 양의 열을 받아도 온도가 쉽게 오르지 않아 시원하게 유지된다.• 증발열 효과먹을 때 과즙이 증발하면서 주위 열을 빼앗아 입안에서 더 시원하게 느껴진다.• 여름 햇빛과 당도햇빛이 강해질수록 광합성이 활발 → 더 많은 당분이 축적되어 여름 수박이 더 달다.📌 TIP! 수박 더 맛있게 먹는 법 - 차갑게 보관했다가 바로 먹는 것보다, 먹기 전 10분쯤 상온에 두면 단맛이 더 잘 느껴진다..

science 2025.08.18

수증기: 장마철 습도와 뿌옇게 변하는 창문

장마철, 창밖은 시원하게 비가 내리는데 내 방 창문은 왜 자꾸 뿌옇게 변하고 습한지..이게 다 수증기 때문이다. 응결의 원리창문 표면은 외부 온도에 영향을 많이 받아 쉽게 차가워진다.실내 따뜻하고 습한 공기가 차가운 창문 표면에 닿으면 순간적으로 냉각된다.그때 공기 속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해 창문에 붙는 것이 ‘결로’다.공기 속 수증기가 많더라도, 따뜻할 때는 기체로 존재한다.하지만 표면 온도(창문)가 충분히 낮아질 때, 수증기가 액체로 변해 물방울이 되고 결로가 생긴다.이 과정을 응결이라 한다.장마철 창문이 뿌옇게 되는 이유포화수증기량이란 공기가 머금을 수 있는 수증기의 최대량이다.온도별로 다르며, 일반적으로 기온이 높을수록 포화수증기량이 높아진다.이슬점이란 현재 공기가 포함하고 있는 수증기가 포화되어..

science 2025.06.25

냉방의 마법: 에어컨은 어떻게 시원해질까?

요즘 점점 더워지면서 에어컨을 켜기 시작했다.이번 여름은 더 덥다는데, 매번 이 소리를 듣는 것 같다.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가 된 에어컨, 에어컨은 어떻게 실내 공기를 이렇게 시원하게 만드는 걸까?에어컨의 원리사실 에어컨은 ‘찬 공기를 만드는’ 기계가 아니라, 더운 공기를 밖으로 빼내는 장치다.정확히 말하자면, 열을 실내에서 실외로 옮기는 장치라고 할 수 있다.이 과정은 바로 냉매와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의 협업으로 이루어진다.냉매의 순환냉매는 에어컨 속에서 열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1. 증발기: 실내의 더운 공기와 만나면서, 냉매는 액체 → 기체로 기화→ 이때 주변에서 열을 흡수→ 실내는 시원해짐2. 압축기: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해 고온고압 상태로 만듦3. 응축기: 실외로 이동한 냉매가 기체..

science 2025.06.20

[베이킹이론] 크림치즈와 마스카포네 치즈 차이

크림치즈마스카포네 치즈원재료우유 + 크림 + 젖산균크림 100%지방 함량약 33%약 40~45%산미비교적 있음거의 없음맛짭조름 + 새콤 + 묵직달지 않지만 부드럽고 크리미텍스쳐탄탄하고 단단함부드럽고 실키함조리 내성열 안정성 높아 굽는 데 적합열에 약해 쉽게 분리될 수 있음보관성상대적으로 오래 보관 가능보관 기간 짧고 쉽게 상함어울리는 재료딸기, 블루베리, 견과류 등커피, 코코아, 바닐라, 열대과일 등 활용치즈케이크, 컵케이크 토핑, 베이글티라미수, 무스케이크, 크림류

sweets 2025.05.23

레일리 산란: 선크림을 바르면 얼굴이 하얘지는 이유

점점 더워지고 햇볕이 따가워지고 있어 선크림을 꼼꼼히 바르고 다닌다. 근데 선크림을 바르면 얼굴이 하얗게 뜨는 건 왜 그런 걸까? 하고 찾아봤더니 여기에도 과학적 원리가 숨겨져 있었다!선크림의 종류선크림은 크게 물리적 차단제와 화학적 차단제로 나뉜다.무기자차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대표 성분: 이산화티타늄(TiO₂), 산화아연(ZnO)차단 원리: 입자들이 자외선을 산란(reflect) 또는 반사(scatter)시켜 피부에 도달하지 못하게 함특성: 입자의 크기와 굴절률이 자외선 파장과 맞물려 레일리 산란 or 미산란을 일으킴 → 자외선을 튕겨내는 것처럼 보이게 함장점: 자극이 적고 즉시 효과 발생단점: 백탁현상 생기기 쉬움유기자차 (화학적 자외선 차단제)대표 성분: 아보벤존, 옥시벤존, 에칠헥실메톡시신나메..

science 2025.05.22

[베이킹이론] 대체당 차이

단맛 정도 (설탕=100)칼로리특징장점단점스테비아200~3000 kcal**식물(스테비아)**에서 추출혈당 영향 無, 칼로리 0뒷맛이 쌉싸름할 수 있음알룰로스70~800.2 kcal/g (거의 0)자연 과일/식품에 존재하는 당맛이 설탕과 유사, 혈당X가격이 비쌈, 너무 많이 먹으면 설사 유발에리스리톨60~800~0.2 kcal/g과일 발효 등에서 얻는 당알코올시원한 청량감, 충치 예방많이 먹으면 복통/설사자일리톨1002.4 kcal/g자작나무 추출 당알코올충치 예방 효과과다 섭취 시 설사 가능나한과(루오한궈)250~3000 kcal열대 과일 나한과에서 추출항산화 성분 풍부, 자연 유래단맛이 과하게 느껴질 수 있음말티톨90~1002.1 kcal/g감미료 중 식감/단맛이 설탕과 가장 유사빵/초콜릿에 많이 쓰..

sweets 2025.05.15

광분해: 차 안에 둔 물 마셔도 될까?

부모님 차를 탈 때 오래되어 보이는 물을 발견하고, ”이거 마셔도 돼?“ 라고 물어보면 항상 얼마 안됐다고 마시라고 대답한다.오래된 물 마시면 위험하다는데… 진짜 마셔도 되는지 항상 궁금했다.실제로 생수병 라벨에는 ‘직사광선 피할 것’이라는 문구가 꼭 적혀 있다.근데, 햇빛을 받는다고 병이 왜 위험해지는 걸까?생수병의 재질우리가 마시는 생수병은 대부분 PE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라는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진다.가볍고 투명하고 튼튼하지만, 자외선엔 다소 약하다.햇빛에 노출되면 어떤 일이?PET는 자외선을 오래 받으면 광분해가 일어난다.이때 병의 구조가 망가지고, 원래 없던 물질들이 생성된다.광분해 과정자외선 조사: PET 분자가 자외선을 흡수함→ 전자가 들뜬 상태로 상승결합 파괴: 탄소-수소, 탄소-탄..

science 2025.05.13

열팽창: 전기포트는 어떻게 자동으로 꺼질까?

전기포트에 물을 올린 것을 까먹고 있어도, 물이 끓으면 '딸깍'하고 자동으로 꺼지는 똑똑한 전기포트덕분에 허둥지둥대고 있어도 많은 도움을 받았다.그런데 전기포트는 물이 끓는 것을 어떻게 알고 자동으로 꺼지는 걸까? 전기포트의 구조전기포트의 바닥은 열선, 뚜껑 근처는 바이메탈 스위치로 이루어져 있다.열선은 흐르는 전류의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바꾸어 물을 끓게 한다.바이메탈 스위치(bimetal switch)란 서로 열팽창률이 다른 두 금속을 붙여 만든 것으로, 온도가 올라가면 두 금속의 팽창 차이로 인해 휘어지는 성질이 있다. 이 휨을 이용해서 전기 회로를 '딸깍' 끊어준다. 전기포트의 작동 원리물을 넣고 스위치를 누르면 전류가 흐름전기 에너지 -> 열 에너지물이 끓는점 도달 -> 수증기 발생뜨거운 ..

science 2025.05.06

[베이킹이론] 우유와 생크림 차이

우유생크림지방 함량약 3~4%약 30~40%수분 함량매우 높음 (약 87~90%)낮음 (약 55~60%)맛깔끔하고 담백함진하고 부드러움, 풍미가 강함역할수분 공급, 질감을 부드럽게 함지방 공급, 풍미 강화, 조직을 더 부드럽고 촉촉하게 지방은 반죽 내에서 글루텐 형성을 방해글루텐은 밀가루의 단백질이 수분과 만나면서 생기는데, 지방이 많으면 이 과정을 방해해서 조직이 부드러워짐수분은 글루텐 형성과 팽창에 필요수분이 많으면 팽창성이 커지지만, 지나치면 퍼지고 약한 조직

sweets 2025.04.27

레일리 산란: 하늘이 유난히 파래보이는 날

하늘이 더 파래 보이는 계절은 언제일까?초여름 하늘을 바라보면 유난히 파랗고 투명하게 느껴진다.창밖을 보다가 “오늘 하늘은 왜 이렇게 예쁘지?” 싶은 날, 사실 그 뒤엔 과학적인 이유가 숨어 있다. (기분탓일수도)빛의 산란햇빛은 사실 무지개처럼 다양한 색(파장)을 섞은 ‘백색광’이다.이 빛이 지구 대기를 만나면, 공기 중의 분자와 부딪히며 산란이 일어난다.그중에서 파장이 짧은 파란색(약 450nm)은 긴 파장보다 훨씬 더 잘 산란된다.이는 파장이 짧을수록 공기 분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빈도가 높기 때문이다.파장이 짧은 빛일수록 진동수가 높아 전자기파가 공기 분자의 전자들과 더 자주 상호작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더 많이 산란된다.이 현상을 레일리 산란(Rayleigh scattering)이라고 부르..

science 2025.04.25